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11/25 금융감독원
    MOT 2014. 12. 3. 09:43

    11/25 기술금융의 이해 _금융감독원

    금융상품의 출시
    목적- 대상의 선정- 한도 부여- 조달 비용- 금리 결정- 관련 부서검토- 상품 출시

    기술금융: 아이디어와 기술의 개발 사업화 등 기술혁신 전 과정에서 필요한 자금을 지원
    직접투자(초기단계의 지분투자)
    간접투자(중후기단계의 채무증권) 이제는 의미없음

    기술금융은 평가가치의 신뢰에 따라 기초하므로 효율적인 평가시스템 필요
    (불확실성 낮추고 정보의 비대칭성 낮추는 효율적 시스템 필요)

    현재 기술평가의 문제점: 자금제공자인 금융회사의 목적과 수요에 맞는 정보가 부재
    기술금융의 리스크를 기보의 기술보증서에 의존
    보증/담보의 의존도가 높고 전문 인력이 부족

    정부의 비전: 기술금융 활성화를 위한 기술평가 생태계 조성
    -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(TDB:Tech Data Base) 구축
    ㄴ 기술정보, 특허정보, 시장정보, 평가정보
    -민간 기술신용평가기관(TCB:Tech Credit Bureau) 활성화
    ㄴ 기술과 신용을 모두 평가할 수 있는 전문성
    장기적으로 평가 비용 절감을 통한 은행의 전문성 제고 목적
    현재 3개 기업 : 기보 나이스 한국기업데이터
    -은행등 금융권의 기술평가 역량 제고
    -기술평가정보의 활용도 제고

    TCB 등급(기술신용등급)
    정책금융과 연계된 대출 심사시 TCB의무 사용
    신용등급: 재무상황을 평가하여 미래의 채무불이행위험
    기술등급: 기술경쟁력과 사업화 역량을 평가하여 미래의 성장가능성

Designed by Tistory.